ASCII 변환

문자와 ASCII 코드를 상호 변환하고, 자세한 문자 정보를 표시

사용 안내

🚀 빠른 시작

  • 문자 → ASCII: 텍스트 입력 후 ‘인코딩’으로 코드 확인, ‘디코딩’으로 문자 복원
  • ASCII → 문자: 숫자 코드를 입력하여 해당 문자를 얻기
  • 표시 형식: 10/16/2/8진을 기본으로 함께 표시
  • 일괄 처리: 여러 문자/코드를 한 번에 변환
  • 방향 전환: 인코딩/디코딩을 선택하여 변환 방향 설정

📌 자주 쓰는 활용 사례

  • 개발: 인코딩 처리 및 문자열 디버깅
  • 데이터 분석: 특수 문자/인코딩 점검
  • 네트워킹: 프로토콜의 제어 문자 이해/디버깅
  • 교육: 컴퓨터 기초와 인코딩 학습
  • 보안: 보이지 않는 문자 식별과 의심 문자열 점검에 도움
  • 형식 변환: 각종 수 체계 간 변환

🎛️ 변환 매개변수와 범위

  • 코드 입력: 다양한 형식 지원
  • 2진: 0b 접두사, 예) 0b1000001
  • 8진: 0o 접두사, 예) 0o101 0o141
  • 10진: 예) 65 97 32
  • 16진: 0x 접두사, 예) 0x41 0x61 0x20
  • 구분자: 공백, 쉼표, 세미콜론 지원
  • 범위: 숫자 48–57, 대문자 65–90, 소문자 97–122
  • 자주 쓰는 코드: Space(32), 0(48), A(65), a(97), LF(10), CR(13)
  • 2진 표시: ASCII 코드를 8비트 바이트로 표시(0–127); ASCII 초과 문자는 Unicode 코드 포인트(U+XXXX)로 표시
  • 8진 표시: 0o 접두사, Unix 권한에서 흔함
  • 10진 표시: 표준 0–127 값
  • 16진 표시: 0x 접두사(대소문자 무관), 프로그래밍/디버깅에 유용
  • 문자 미리보기: 문자는 글리프, 제어 문자는 이름 표시
  • 특수 문자: 줄바꿈(\n), 탭(\t) 등 제어 문자 지원
  • ASCII 범위 외: ASCII 밖의 문자는 Unicode 정보를 표시하며, 일부는 서로게이트 문자(U+D800–U+DFFF)로 보일 수 있습니다

🧭 활용 팁

  • 텍스트 입력: 변환할 텍스트를 입력 또는 붙여넣기
  • 입력 검증: ASCII 코드는 0–127 범위
  • 제어 문자 주의 처리
  • 디버깅: 출력의 숨은 제어 문자 탐지

⚠️ 제한 및 호환성

  • 범위 제한: 표준 ASCII는 0–127만 지원
  • 범위 밖: ASCII(0–127) 밖의 문자는 ASCII 값 대신 Unicode 정보를 표시
  • 표시 제한: 일부 제어 문자는 표시 불가
  • 호환성: 확장 ASCII(128–255)는 시스템마다 다름

🔒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

  • 모든 처리는 브라우저 내에서 이루어지며, 데이터는 기기를 떠나지 않습니다

❓ 자주 묻는 질문

중국어 문자는 왜 ASCII 코드가 없나요?

ASCII는 영어만 지원합니다. 중국어 등은 0–127 밖의 Unicode이므로 Unicode 코드 포인트를 표시합니다

제어 문자는 무엇이며 어떻게 표시되나요?

제어 문자(0–31)는 인쇄 불가(줄바꿈, 캐리지 리턴, 탭 등)이며 이름으로 표시됩니다

ASCII에서 대소문자의 규칙은 무엇인가요?

대문자 A–Z: 65–90, 소문자 a–z: 97–122. 차이는 32

왜 16진수를 사용하나요?

간결하고 2진과의 매핑이 단순합니다(1 16진 숫자 = 4비트)

확장 ASCII란 무엇인가요?

8비트(128–255)를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. 현재는 UTF‑8 권장

개행 코드는 OS마다 다른가요?

예. Windows: CR+LF(13+10), Unix/Linux/macOS: LF(10), 구형 Mac: CR(13)

ASCII 변환기 - 텍스트, 16진수, 2진수, 10진수 - CrateX.app